봄 산 - 양평 중미산에서 야영을....
"詩에서 길을 찾다"2009. 3. 28 토 - 3.29 일
양평 한화콘도에 데려다 주고서
(딸 아이와 친구를 오리엔테이션장인 양평 한화콘도에
바래다 주고서 나는 중미산자연휴양림으로 향하였다^^)
* * 대 체육학과 학생들 봄소풍(오리엔테이션)^^
산책길도... 쉬엄 쉬엄
노란 햇살이 참 좋은 오후나절....햇볕쬐기^^
어쩔수 없이^^난 태워다 주었을 뿐이고 ~ 도랑치고 가재잡은날이다. 헛허허허
중미산 휴양림 골짜기
해저물녁,발간 노을이 얕은 개울에 쉬는...촉촉한 숲그늘에
들숨과 날숨을 크게 젖히고골짝 개울에 쭈구린체 재잘거리는 물소리를 본다
고즈녁하다.
개울 바위에 걸터앉아 노을따라 한개피 깊숙하게 사룸은
폐부에 부유하는 것들을 토해내는양 개운한 맛 또한 숨길수 없다.
야영장에 도착하여 텐트를 치고 근처의 계곡과 숲,
그리고 건너편 펜션 마을까지 뒷짐지고 느릿하게 정찰하여봅니다.
내일 아침에 올라갈 중미산
커피숖.카페
야 영 장
밤의 정적, 고요 적막...그리고 어둠속에땅의 숨소리와 마실다니는 바람소리,
그리고 개울의 수다와 어우러져 혼자서도 잘논다^^
일탈 이라는것.....바로 이런것임을 홀연히 벗어나 단절 되어지는것처럼 여겨지는
산막(야영)이지만 부대끼듯, 떼밀리듯 살아가는 일상속에 미쳐 챙기지 못하고
소홀 하였던것 들을 원맨쇼 하듯 커피 한잔, 한개피 사룸과 낙서하면서
스스로를 반추해보는것같다.
일탈이란 회피하는 듯 벗어남이 아니라
가슴 한켠에 눌려지고, 숨겨진것을 꺼내어
햇볕에 말리고 보송하게 하고 반성과 충전을 시키는 그런것 같다.
헛허허허, 그렇다는겝니다.
중미산 올라감
중미산 천문대
360도 회전하는 6.6인치 크기의 관측돔과 함께
주망원경인 TMB社의 203mm APO ED 굴절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슴.
다양한 종류의 천체망원경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계절별 별자리와 함께 성운, 성단 등과 같은 신비로운 우주 속 천체들을 관찰할 수 있슴
천체관측법 교육및 직접 망원경을 조립/해체 해보며 작동원리를 배움
산 행
산, 숲, 겨울, 하얀눈, 부신햇살....
거기 취하여 딴눈팔다 등산로를 벗어나(사실은 잃어버림^^)
종아리까지 푹푹 빠지는통에 기력도 탈진하고 혼났슴^^
멧돼지가 파 후벼놓은 흔적들을 지나며....아직도 헤매는중^^
한참을 헤매다 겨우 등산로를 찾아 한숨쉬다.
길까지 잃은 못난 신발이나마 애썼다 하여 사진을 찍어주다.
담엔 그러지 말자....건방떨지 말고, 좀더 신중하고, 겸손하게.....
정상에서본 사방...멀리 유명산이 보임
육안으로는 남한강이 보이는데 사진으로는....
정상에서유명한 산이 아니라서...?
정상에 머무르는동안 혼자뿐이었다.
조용한 바람과 툭 틔인 시야를 한가슴 안아내다.
" 농 다 치 고 개 "
조선 중기 때 양평군 신복리에 최씨 성을 가진 마을 향리가
고개 넘어 가평군 방일리에 사는 박씨에게 무남독녀 외동딸을 시집보내게 되었다.
혼수로 딸이 태어날 때 심었던 오동나무를 베어 솜씨 좋은 목수에게 부탁하여 농을 제작하여
농속에이불과 살림살이를 챙겨서 머슴인 돌쇠와 돌쇠 아버지의 지게에 지어 보내었다.
아씨를 짝사랑하며 숱한 밤을 가슴앓이 해오던 어린 머슴, 돌쇠는 고개마루에 도착해서는
짝사랑 해온 여인에 대한 사랑의 표시인지 이루어 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연인의 해코지인지,
지고 가던 오동나무 농을 도로가 비좁다는 핑계 삼아 도로 옆 바위에 쿵쿵 부치며
눈물과 콧물, 땀으로 범벅이 되어 운반하였다.
뒤따라오던 돌쇠 아버지가 보다 못해 “애야 농 다친다! 농 다친다!”하고 주의를 준 것이
“농다치고개”라는 향토명이 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정상에서 내려본 농자치고개와 중미산 표지석 농다치고개는
양평읍에서 가평군 설악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드라이브 코스로도 좋음.
농다치고개
중미산표지석
오늘도 좋은날 봄산, 햇살이 좋고....고즈녁합니다.
우연찮게 산마음을 한아름 담아온 산행입니다.
2009. 4. 4 토
까망가방하양필통입니다
'산. 들살이.캠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등반 (성판악-백록담-관음사코스) 제주도 둘째날 2010.10.13 (0) | 2010.10.31 |
---|---|
겨울산 내연산 보경사 (0) | 2010.02.25 |
분오리돈대에서 야영을-해맞이 야영 (0) | 2009.01.08 |
2009년 새해 해돋이 - 남산에서 (0) | 2009.01.04 |
석모도 야영 - 달맞이, 일출 (0) | 2008.09.21 |